BPA 부산항운영대책협의회 운영에 들어가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우예종)는 “기존의 2M, O3, CKYE, G6의 4대 얼라이언스 체제가 2M, 디얼라이언스, 오션얼라이언스 3대 체제로 재편됨에 따라 부산항의 운영효율성 저하를 사전에 방지하고 부산항의 환적경쟁력을 유지코자 ‘부산항운영대책협의회’를 운영 한다”고 밝혔다. 부산항운영대책협의회는 부산항만공사와 신항 터미널운영사, 3대 얼라이언스의 리더선사로 구성되어 얼라이언스 재편에 따른 부두 간 환적화물의 원활한 운송체계를 확보하고 선사의 선석이용 등과 관련한 애로사항을 해소할 예정이다. 이번 협의회는 이달 21일(화) 첫 회의를 시작으로 얼라이언스 재편에 따른 물류흐름이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6월까지 계속 운영된다. 부산항만공사 강부원 국제물류사업단장은 “올해 4월 얼라이언스 재편으로 인한 물류 지연 등으로 선사, 화주, 운송사, 터미널 등 해운항만공급체인의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예방대책을 적극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BPA 사드(THAAD) 배치관련 비상대책단 구성·운영 부산항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으로 피해 최소화에 주력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우예종)는 “정부의 사드 배치와 관련하여 중국 내 우리나라 기업의 영업 및 한류 제한, 중국 국민의 우리나라 관광 제한 등 한한령(限韓令)이 확대·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달부터 사드 비상대책단을 구성하여 부산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그간 부산항만공사는 사드 배치와 관련하여 크루즈산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체제를 이어오다 지난 3월 15일부로 중국 내 모든 여행사 및 대리점의 한국여행상품 금지 및 한국행 크루즈 노선 운행을 전면 중단하는 등 중국정부의 한국에 대한 제재조치를 확대 시행함에 따라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즉시 비상대응체제를 가동하였다. 사드관련 비상대책반은 이정현 운영담당부사장을 단장으로 총괄반, 국제여객 대책반, 국제물류 대책반, 항만산업 지원반과 중국대표부로 구성하였으며, 내·외부 자문과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정기적인 상황점검에 들어갔다.(긴급 상황 발생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