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국해양대 권용우·신성우 학생, 수산과학회 국제학술대회 우수 발표상 수상배합사료 대체 연구 성과로 양식 분야 주목넙치 성장률 및 경제성 입증한 실험 결과 발표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사료영양공학연구실(지도교수 조성환)의 권용우 석사과정생과 신성우 학·석사연계과정생이 최근 열린 2025년 한국수산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양식·생물공학 분야 포스터 발표 부문 우수 발표상을 수상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5월 7일부터 9일까지 제주 휘닉스 아일랜드에서 열렸으며, '수산과학 70년의 여정과 다음 100년(A 70-year journey of fisheries science and the next 100 years)'을 주제로 국내외 수산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수산업의 미래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권용우 석사과정생은 "Inclusion effect of jack mackerel meal in diets replacing 50% of fish meal with chicken by-product meal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부산시 공공·빅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쾌거행안부 주관 통합 본선 진출… 대통령상 도전 국립한국해양대학교 RISE사업단 소속 창업동아리 ‘비비스로지틱스’가 ‘2025년 부산시 공공·빅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에서 아이디어 기획 부문 최우수상인 부산시장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으로 비비스로지틱스는 향후 중앙부처 주관 통합 본선 진출 자격도 획득하며 주목받고 있다. 대회는 부산시가 주최하고 부산테크노파크가 주관했으며, 부산도시공사, 부산교통공사, 한국장학재단이 후원기관으로 참여했다. 공공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창의적 창업 아이디어 발굴을 통해 지역의 데이터 기반 창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비비스로지틱스는 AI 기반 대화형 커머스 기술을 적용한 이커머스 DX 솔루션 ‘셀믹스(Selmix)’를 출품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셀믹스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상품을 탐색하고 추천하며, 구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된 솔루션이다. 데이터 활용과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혁신성이 뛰어나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심사위원단의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번 대회 수상으로 비비스로지틱스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제13회 범정부 공공데이터
한국해양재단-서울대 자연과학대학, 해양과학문화 교육 협력 강화해양인재 양성·청소년 교육 프로그램 공동 추진8월 ‘청소년 해양인재학교’ 개최 등 실질적 협력 시작 한국해양재단(이사장 문해남)과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학장 유재준)이 2025년 7월 24일 해양과학문화 확산과 해양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해양과학 관련 정보·인프라·전문인력 교류를 활성화하고, 청소년 대상 교육 프로그램 공동 운영 등을 통해 해양 분야 인재 양성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해양과학문화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와 차세대 해양인재 양성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협력 과제를 명문화한 것이다. 양 기관은 △해양과학 관련 정보 교류 및 공동 사업 발굴 △해양인식 확산을 위한 교육훈련 및 홍보 △청소년 대상 해양교육 프로그램 공동 주관 등에 합의했다. 특히 협약 실천의 첫걸음으로, 양 기관은 국립인천해양박물관과 함께 오는 8월 8일부터 10일까지 2박 3일간 ‘청소년 해양인재학교’를 공동 운영한다. 서울과 인천 지역에서 열리는 이번 프로그램은 전국 중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해양과학 탐구와 현장 체험을 결합한 집중
한국해양대, 언론계 동문들과 ‘해양과 미디어’ 교류의 장 열다 국립한국해양대학교가 개교 80주년을 기념해 언론계 동문들과의 교류를 위한 'KMOU Alumni Forum'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해양과 미디어의 만남'을 주제로 23일 부산 해운대 그랜드조선에서 열렸으며, 해양 분야와 미디어 산업의 접점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됐다. 이날 행사에는 류동근 총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환영 인사말, 동문 인사말, 대학 비전과 주요 재정지원사업 소개, 자유 네트워킹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신문과 방송 등 언론 현장에서 활약 중인 기자 출신 동문은 물론, 방송 송출 시스템과 장비운영 등 언론기술 분야에서 활동 중인 동문들도 다수 참석해 행사에 무게감을 더했다. 국립한국해양대는 이번 포럼을 통해 언론·방송계와의 접점을 넓히고, 동문들과의 지속 가능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려는 기반을 마련했다. 대학 측은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의 동문들과의 네트워크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동문들과 함께 대학의 발전 전략을 공유하고,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대학 관계자는 “이번 KMOU Al
여수시청소년해양교육원, ESG 실천 위한 해양환경 정화 캠페인 전개집중호우 이후 연안 쓰레기 수거…지속가능한 환경 정화활동 선언청소년 해양교육기관의 책임 있는 ESG 경영 실천 사례 주목 여수시청소년해양교육원(원장 오세경)은 7월 23일 여수세계박람회장 일원에서 해양쓰레기 수거를 중심으로 한 '해양환경 정화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최근 집중호우로 인해 연안으로 유입된 각종 해양 쓰레기를 신속히 제거하고, 현장 중심의 환경보호 활동을 통해 교육기관 차원의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을 실천하려는 목적에서 기획됐다. 무더운 날씨 속에서도 여수시청소년해양교육원과 한국해양소년단전남동부연맹 소속 직원 등 20여 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박람회장 일대의 해양 쓰레기를 집중 수거했다. 참가자들은 해양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직접 체감하며, 시민들의 관심도 함께 환기했다. 교육원 관계자는 "이번 정화활동은 ESG 실천의 출발점으로, 그간 교육원 내부적으로 실현 가능한 환경책임 활동을 꾸준히 모색해온 결과물"이라며, "향후 해양쓰레기 유입이 반복되는 상황을 고려해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정기적인 활동으로
국립한국해양대, 스리랑카해양대학교 3기 초청연수 성료선진 해양기술 체험 통한 글로벌 역량 강화…7년간 장기협력의 결실 기대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스리랑카해양대학교해양수산전문인력양성사업단(단장 임선영)은 7월 1일부터 23일까지 3주간 실시된 '스리랑카해양대학교 3기 학생초청연수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국제협력선도대학육성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스리랑카해양대학교(Ocean University of Sri Lanka) 학생들이 한국의 선진 해양생명과학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관련 분야의 글로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올해 연수에는 여학생 9명, 남학생 6명 등 총 15명이 참가했으며, 지난해보다 더욱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학생들은 해양생명과학 분야의 실험실 현장실습과 심화교육과정을 통해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전문지식을 습득했다. 특히 이번 연수는 단순한 교육 프로그램을 넘어 인적·물적 자원의 공동 활용을 기반으로 한 유기적 국제 네트워크 형성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연수 참여 학생들은 글로벌 해양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실질적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임선영 교수는
국립한국해양대, 베트남 호치민 대학 방문단 초청… 실질적 교육 협력 물꼬 트다 국립한국해양대학교가 베트남 호치민시 소재 대학과의 교육 협력 확대를 위한 뜻깊은 초청 행사를 열었다. 국립한국해양대(총장 류동근)는 7월 22일 ‘2025 호치민 시 교육관계자 및 학생 방문단 초청 행사’를 교내에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이 주관한 ‘2025 호치민시 교육 관계자 및 학생 부산 초청사업’의 일환으로, 호치민시 재정경제대학교(UEF)와 오픈대학교의 교수진 및 예비 유학생 등 16명을 초청해 대학의 교육 환경과 유학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방문단은 재정경제대학교 NHAN CAM TRI 부총장, PHAM THI THUY LINH 한국어학과 부학장, NGUYEN NGOC KHANH LINH 행정 총괄 담당자와 오픈대학교 VU THI THUAN, TRINH THI HANH, TRUONG THI THOA 등 한국어학과 소속 강사 3명, 그리고 각 대학에서 선발된 예비 유학생 10명 등 총 16명으로 구성됐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진행된 프로그램은 학교 소개 및 입학 설명회를 시작으로 총장 환담과 공식 간담회, 베트남 유학생과의 만남, 실습선
국립한국해양대 최진철 교수, 중국 대련해사대학에서 미래형 해양교육 모델 제시기린과 코끼리의 우화에서 웹드라마까지… 다문화 선상 갈등 해결 위한 실천 교육 주목한중 해양교육 협력 확대… 유쿤호 11월 부산 방문 예정 국립한국해양대학교(총장 류동근) 항해융합학부 해사글로벌전공 최진철 교수가 지난 7월 8일부터 9일까지 중국 대련해사대학교에서 ‘선박 내 다양성 관리’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하며 21세기 해양 인재 양성의 새로운 교육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강연은 대련해사대학 국제처가 주관한 ‘해외 명사 초청 특강 시리즈’의 일환으로, 항해대학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강연은 다문화 선상 환경에서의 조화와 포용을 주제로,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체험 중심 콘텐츠를 통해 큰 호응을 얻었다. 첫날 강연에서는 ‘기린과 코끼리’의 우화를 통해 다양성과 포용의 개념을 선상 생활에 접목시켰다. 이어 최 교수가 개발한 ‘선원 다양성 성숙도 지표(CDMI: Crew Diversity Maturity Index)’가 소개됐다. 이 지표는 국적, 언어, 성별 등 문화적 배경이 다양한 선원 간 갈등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실용적인 도구로, 참가 학생들
국립한국해양대, 해양 AI 교육·연구·산학협력 중심대학으로 도약해양빅데이터 기반 실습선 활용… ‘AI 강국’ 실현에 기여실습선 빅데이터·AI 접목한 디지털 전환 시동… RISE사업 성과도 가시화 국립한국해양대학교(총장 류동근)는 지난 7월 18일, 산학협력단과 교양교육원, RISE사업단, AI 전공 교수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해양 인공지능(AI) 분야의 교육·연구·산학협력 현황과 전략을 점검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국립한국해양대학교가 해양 AI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로, 국가 전략산업으로서 해양 AI의 위상과 향후 육성 방향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대학은 AI 교육과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최우선 전략으로, 실습선 ‘한나라호’와 ‘한바다호’를 활용한 해양빅데이터 수집·분석 체계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기술 접목을 통해 해양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신산업 창출을 견인하겠다는 구상이다. RISE사업을 통해 스마트 해양모빌리티 해상시험장 구축, 산학공동기술개발, AI 기반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구체적인 예산 투입과 실질적인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다. 특히 대학 내 AI 서버
개발도상국 해양 공무원, 한국서 해양환경 정책·기술 배운다국립한국해양대, KOICA 초청 연수 실시… 5개국 10명 대상 2주간 운영부산항 현장 견학부터 해양정책 강의까지… 국제 교류 확대 계기 기대 국립한국해양대학교는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2주간 개발도상국 해양 분야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해양환경 정책 및 기술 연수를 실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연수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부산광역시가 공동 지원하고, 국립한국해양대 산학협력단이 주관했다. 연수 프로그램은 ‘해양환경 변화 대응 정책 및 기술 역량 강화(2024~2026)’의 일환으로, 그레나다,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 알제리, 방글라데시 등 5개국 해운·항만·환경 담당 공무원 10명이 참가했다. 이번 연수는 해양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 개발 역량과 해양 특성화 업무 체계 강화를 목적으로 구성됐다. 연수생들은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부산항만공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 국내 주요 기관의 전문가들로부터 해양환경 보호 정책과 기술에 대한 강의를 수강했다. 현장 중심 교육도 병행됐다. 연수생들은 국립한국해양대 실습선을 비롯해 부산항만공사, 부산 신항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