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해양계교육

KAIST 대형 건설공학 실험센터 건립한다

KAIST(총장 서남표)는 지반 구조물 축소 모형을 통해 지진이나 제방 붕괴 등 자연 재해를 연구할 수 있는 대형 건설공학 실험시설인 ‘분산공유형 지오센트리퓨지(Geo-Centrifuge) 실험 센터’를 건립한다.

  

이 실험센터는 총 84억원의 예산으로 연면적 518평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지어진다. 최첨단 실험시설을 갖춘 지반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모형실험시설로 대학과 연구기관, 기업이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통해 교육, 연구, 사회기반 시설물 설계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센터내에는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실, 모델제작실, 공작실, 지반공학실험실 및 시료보관실 등이 있는 실험동과 제어실, 화상회의실, 전자도서관 및 연구실 등이 있는 연구동이 들어선다. 연구동에는 연구자들을 위한 각종 편의시설과 원거리의 연구자들도 실험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화상회의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된다.

  

또한, 회전반경 5.0m, 최대가속도 130g(중력가속도의 130배), 최대 상재하중 2400kg의 지오센트리퓨지와 실험 중 지진을 모사할 수 있는 2방향 진동대, 건설공사 과정을 원격으로 모사할 수 있는 로봇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실험 기자재가 갖추어진다.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은 댐, 사면과 같은 대형 지반구조물을 축소 모형으로 제작,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실제 자연현상과 유사한 형태의 거동을 모사하는 실험이다.

  

이 실험은 실제 지반구조물의 거동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모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내진 안정성 평가, 연약 지반의 움직임, 사면 안정 해석 등 대부분의 지반공학 연구에 널리 활용된다.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의한 美 뉴올리언스 지역의 제방 붕괴 과정도 이 모사 실험을 통해 원인을 규명했다.

  

김동수(金東洙) 센터장은 “지금까지 인프라 부족으로 수행하지 못했던 다양한 실험과 연구가 가능하게 되어 대형 사회기반시설물의 설계 및 시공에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며, “외국 기술에 의존해 왔던 센트리퓨지 등 대형장비를 활용한 건설 연구를 국내에서 수행하여 첨단 건설기술을 개발하면 해외건설시장에서 국제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 실험 센터는 범 국가 차원의 건설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해 건설교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분산공유형 건설연구 인프라 구축사업(KOCED Program)의 일환으로 건립되며, 기공식은 오는 4월 3일(화) 오후 4시 KAIST 교내에서 갖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