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급 제11회 세계 인정의 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 수상 고객에게 체계적인 ISO 시스템 적용 및 고도화를 지원한 공로 인정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지난 22일 서울 중앙우체국 대강당에서 개최된 ‘제11회 세계 인정의 날’ 기념식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세계 인정의 날은 무역상 기술장벽을 완화하기 위한 국제공인 인정제도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시험·검사 분야 및 인증 분야의 양대 국제인정기구(ILAC·IAF)가 공동으로 제정한 날로 올해로 11번째를 맞았다. 이번 기념식에서 한국선급은 우리나라 국가 표준(KS) 제정지원을 위해 ISO 국제회의 및 국내 TC 176/PC 283 등의 전문위원회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표준 적용 및 제정지원 활동에 대한 공을 인정받아 장관표창을 수상하게 되었다. 또한 인증업무의 투명성 및 부패방지 경영을 위해 지난 해 KAB(한국인정지원센터)에 등록된 ISO 인증기관 최초로 ISO 37001(부패방지경영) 시스템을 도입한 점도 수상에 영향을 끼쳤다. 이날 KAB 산하 52개 국내 ISO 인증기관 중 정부포상 최고상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을 수상한 기관은 한국선급이 유일하다. 한국선급
한국선급 선박 황산화물 배출규제 대응을 위한 지침서Ⅲ 발간 황산화물 배출저감 방안 중 하나인 저유황유를 주제로 다뤄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전 세계 해사업계의 최대 현안 중 하나인 선박 황산화물(SOx) 배출규제 대응을 위한 지침서Ⅲ(저유황유 편)을 지난 21일 발간하였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오는 2020년부터 전 세계 해역에서 선박 연료유의 황산화물 함유량을 현행 3.5%에서 0.5%로 제한하는 규제를 시행한다. 이에 해운선사들은 규제를 준수하는 동시에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황산화물 배출저감 방안 마련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선급은 황산화물 배출 규제 대응을 위한 선주 지침서를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발간해 왔다. 지난해 1월 발간한 지침서Ⅰ에서는 황산화물 저감장치인 스크러버(Scrubber) 장착, 저유황유 사용, LNG 추진선박 건조 등 황산화물 배출저감 방안 각각의 기술적 장단점과 경제성 분석을 제시하였다. 이어 지난 3월 발간한 지침서Ⅱ에서는 대응방안 중 황산화물 저감장치(EGCS)에 대한 기술정보 및 고려사항을 다뤘었다. 그리고 이번에 낸 지침서 III에서는 대응방안 중 선사에서 관심이 높은 저유황유
한국선급 컨소시엄 삼성중공업 선박평형수처리설비 USCG 형식승인 취득 테크로스에 이어 국내업체 중 두 번째 승인 취득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한국선급이 이끄는 컨소시엄을 통해 지난 15일 삼성중공업의 선박평형수처리설비(BWMS)가 미국 해안경비대(USCG)의 형식승인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삼성중공업 제품의 미국 형식승인 취득을 위해 한국선급의 컨소시엄 중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Dt&C, SGS Giheung Lab,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해양생태기술연구소가 참여하였다. 약 2년에 걸쳐 USCG에서 요구하는 모든 시험을 완료하고 작년 9월에 USCG에 삼성중공업 BWMS 제품에 대한 형식승인 시험 결과를 제출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지난 15일 삼성중공업 BWMS 제품이 USCG로부터 형식승인을 취득하게 되었다. 이번 승인 취득은 지난 5일 테크로스의 승인 취득에 이어 국내업체 중 두 번째 취득이다. 현재 USCG로부터 형식승인을 받은 업체는 삼성중공업 및 테크로스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8개에 불과하다. 미국의 BWMS 형식승인 절차는 국제해사기구(IMO)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제정되어 USCG 형식승인을 취득한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
대우조선해양 그리스 마란가스社로부터 LNG운반선 1척 수주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LNG운반선 10척 수주 완전재액화시스템 등 대우조선해양 최신기술 적용 대우조선해양이 LNG운반선 1척을 수주하며, 수주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그리스 최대 해운사인 안젤리쿠시스 그룹 산하 마란가스(Maran Gas Maritime)社로부터 LNG운반선 1척을 수주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계약한 선박의 옵션물량으로 옥포조선소에서 건조돼 2020년 하반기까지 선주측에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에 수주한 LNG운반선은 173,400㎥급 대형 LNG운반선으로 대우조선해양이 자랑하는 천연가스 추진 엔진(ME-GI)과 완전재액화시스템 FRS(Full Re-liquefaction System)가 탑재돼 기존 LNG운반선 대비 연료 효율은 30%가량 높아지고, 오염물질 배출량은 30%이상 낮출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LNG운반선 10척, 초대형원유운반선 15척, 특수선 1척 등 총 26척 약 32억 달러 상당의 선박을 수주해 올해 목표 73억 달러의 약 44%를 달성했다.
한국선급 IMO 온실가스 및 DCS 규제 대응 세미나 성료 해운회사 및 기자재업체 관계자 등 100여명 참석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지난 14일 부산 한진해운 사옥에서 한국선주협회와 공동으로 ‘IMO 온실가스 및 DCS 규제 대응 세미나’를 주최하였다고 밝혔다. 점차 강화되는 IMO(국제해사기구)의 선박 온실가스 배출규제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이번 세미나에는 해운회사 및 기자재업체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하였다. 세미나에서 한국선급은 IMO 온실가스 감축전략과 IMO의 선박 연료 사용량 규제인 DCS(선박 연료사용량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고, 차세대 저감 대응기술 중 하나인 전기 추진선을 소개하여 참석자들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았다. 이날 한국선급 천강우 미래기술연구팀장은 “해사업계에 IMO의 온실가스 감축규제와 대응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오늘 이 자리를 마련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관련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세계 최초 완전재액화시스템 적용 LNG운반선 건조 성공 세계 최초 고압엔진, 저압엔진용 재액화시스템 풀라인업 구축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LNG운반선 수주로 기술력 입증 대우조선해양이 부분재액화시스템 (PRS / Partial Re-liquefaction System)에 이어 완전재액화시스템 (FRS / Full Re-liquefaction System)도 성공적으로 선박에 적용하며 관련기술에 있어서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했다.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최근 LNG운반선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100% 재액화하는 완전재액화시스템을 적용한 LNG운반선을 세계 최초로 인도했다고 19일 밝혔다. 천연가스 재액화장치는 LNG운반선 운항중 화물창에서 자연적으로 기화하는 천연가스를 재액화해, 다시 화물창에 집어넣는 장치로 LNG운반선의 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신기술이어서 선주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2016년 세계 최초로 부분재액화시스템을 적용한 LNG운반선을 인도한데 이어 이번에 완전재액화시스템을 적용한 LNG운반선을 성공적으로 인도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LNG관련 기술경쟁력을 보유하게 됐다. 이를 통해 수주전에도
한국선급 컨소시엄 국내 선박평형수처리설비 USCG 형식승인 취득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지난 6월 5일 한국선급이 이끄는 컨소시엄을 통해 테크로스의 선박평형수처리설비(BWMS,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제품이 미국 정부의 형식승인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선박평형수관리협약과 별도로 자국 법에 따라 미국해안경비대(USCG, United States Coast Guard)로부터 승인 받은 BWMS에 의해 관리된 선박평형수만 해역에 배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미국 항만에 입항하는 선박은 반드시 USCG의 형식승인을 취득한 BWMS 제품을 본선에 탑재하여야 한다. 미국의 BWMS 형식승인 절차는 IMO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제정되었기 때문에 USCG의 형식승인을 취득한 BWMS 업체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신뢰도가 높아 세계 BWMS 시장 선점에 있어 유리한 위치를 차지 할 수 있다. 현재 테크로스를 포함하여 USCG로부터 형식승인을 받은 업체는 전 세계적으로 7개뿐이다. 한국선급은 지난 2년간 (재)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대우조선해양 그리스 포시도니아 박람회에서 선박 수주 성공 그리스 알파가스社로부터 LNG운반선 1척, 다른 해외선주로부터 VLCC 2척 등 총 3척 수주 지난해 같은 기간 수주금액 8.1억 달러 대비 3.7배 이상 증가 대우조선해양이 또다시 그리스 포시도니아 박람회에서 승전보를 전해왔다.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그리스 알파가스(Alpha Gas S.A.)社로부터 LNG운반선 1척을 수주했다. 이는 지난 3월 계약한 선박의 옵션물량이다. 그리고 다른 해외선주로부터 초대형원유운반선 2척도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들 선박의 총 계약 규모는 약 3.7억 달러 규모다. 특히 초대형원유운반선 계약에는 옵션물량이 포함돼 있어 향후 추가 수주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이번에 수주한 LNG운반선은 173,400㎥급 대형 LNG운반선으로 대우조선해양이 자랑하는 천연가스 추진 엔진(ME-GI)과 완전재액화시스템 FRS(Full Re-liquefaction System)가 탑재돼 기존 LNG운반선 대비 연료 효율은 30%가량 높아지고, 오염물질 배출량은 30%이상 낮출 수 있다. 또 초대형원유운반선은 동일한 설계와 사양을 적용하여, 반복 건조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重 셔틀탱커 4척 3억 6천만 달러에 수주 셔틀탱커 M/S 43% 압도적 1위 ... '17년 이후 100% 수주 진기록 작년 북해 시장 석권에 이어 남미 시장도 선도 삼성중공업은 세계 최대 유조선사 중 하나인 싱가포르 AET社로부터 15만2,700DWT 수에즈막스급 셔틀탱커 4척을 약 3억 6천만 달러에 수주했다고 1日 밝혔다. 셔틀탱커는 해양플랜트에서 생산한 원유를 해상에서 선적해, 육상 저장기지까지 실어 나르는 선박으로 유럽의 북해와 바렌츠해, 캐나다 동부, 브라질 등 해상 유전지대에 주로 투입된다. 삼성중공업은 1995년 국내 조선업계 최초로 셔틀탱커를 건조하며 시장을 선도해 왔음. 이번 수주를 포함해 삼성중공업은 현재까지 전세계에서 발주된 셔틀탱커 130척 가운데 56척을 수주함으로써 시장 점유율 43%로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고, 특히 지난 해와 올해 발주된 셔틀탱커 11척 전량을 수주하였고, 2010년 이후는 세계 시장의 2/3 (50척 중 34척, 68%)를 장악하며 압도적인 품질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이 이번에 수주한 셔틀탱커는 높은 파도와 바람, 조류의 영향을 받는 해상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며 해양플랜트 설비에
대우조선해양 3조원 규모 육상 원유생산 플랜트 첫 모듈 출항… 운송 대작전 돌입 총 무게 약 20만톤으로 역대 최대 규모… 81개 모듈로 분리 제작해 운송 국제유가 상승기조에 맞춰 향후 해양플랜트 수주에도 긍정적 영향 작용 지난 2014년 창사 이래 최대 금액인 약 3조원 규모의 육상 원유생산 플랜트 수주 소식을 전한 대우조선해양이 드디어 첫 결실을 맺었다.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카자흐스탄 텡기즈 유전에 설치되는 초대형 원유생산 플랜트(이하 TCO 프로젝트) 첫 모듈 건조를 완료하고 지난 25일 출항식을 가졌다. 이날 출항한 TCO 프로젝트 첫 모듈은 대우조선해양 자회사인 울산 신한중공업을 출발해 인도양을 지나 이집트 수에즈운하(Suez Canal)→러시아 볼가돈 운하(Volga-Don Canal)→카스피해를 거쳐 카자흐스탄 텡기즈 유전까지 총 1만 9천Km에 달하는 거리를 약 90일 간의 긴 여정으로 운송될 계획이다. 특히 러시아 볼가돈 운하를 안전하게 통과하기 위해 모듈을 2단, 3단으로 분리해 현지까지 운송한 후 다시 조립하는 고난이도 신공법(De-Stacking)이 적용됐다. TCO 프로젝트는 총 81개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우조선해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