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급 TCC 중속엔진 및 관련 기자재 시험 서비스 확대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군산에 위치한 그린쉽 기자재 시험·인증센터(TCC, Test & Certification Center)에 중속엔진 실험실을 추가로 구축하고 중속엔진 및 관련 기자재 시험 서비스를 확대하였다고 밝혔다. 그린쉽 기자재 시험·인증센터는 해양수산부 연구개발 국비와 전라북도 및 군산시의 지원을 받아 한국선급이 지난 2015년 5월에 설립한 조선기자재 전문 연구센터로 선박 연료유 분석, 저속 및 고속엔진 시험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그리고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산업융합기반구축 사업(전담기관: KIAT)을 통하여 중속엔진 실험실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린쉽 기자재 시험·인증센터는 선박의 주 추진엔진 및 보조엔진으로 사용되는 중속엔진에 대한 동력 성능평가와 대기 오염원 저감장치인 탈황설비, 탈질설비 등의 성능평가 또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한국선급의 그린쉽 기자재 시험·인증센터는 선박용 저속·중속·고속 엔진 실험실을 모두 갖춘 국내 최초의 선박연구기관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김창욱 한국선급 기술본부장은 “그린쉽 기자재 시험·인증센터를 통해 국내 선박용 엔진
대우조선해양 세계 최초 저압엔진용 완전재액화시스템 적용 LNG운반선 건조 성공 고압엔진에 이어 저압엔진용 완전재액화시스템 세계 최초 적용 성공 PRS®, FRS®, MRS®-F 등 재액화시스템 풀라인업 구축 대우조선해양이 고압엔진(ME-GI)용 완전재액화시스템에 이어 저압엔진 (X-DF)용 완전재액화시스템 (MRS®-F / Methane Refrigerant and Full Re-liquefaction System)도 성공적으로 선박에 적용하며 관련기술에 있어서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했다.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최근 LNG운반선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100% 재액화하는 완전재액화시스템을 적용한 저압엔진 추진 LNG운반선을 세계 최초로 건조해 일본 선사인 MOL社에 인도했다고 밝혔다. 천연가스 재액화장치는 LNG운반선 운항 중 화물창에서 자연적으로 기화하는 천연가스를 재액화해, 다시 화물창에 집어넣는 장치로 LNG운반선의 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신기술이어서 선주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이번에 적용된 재액화장치인 MRS®-F는 저압엔진 추진 LNG운반선에 적용할 목적으로 개발된 기술로, 기존의 재액화장치에 메탄 냉매 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대우조선해양, 2018년 상반기 영업이익 흑자달성… 2분기 연속 흑자 상반기 매출 4조 5,819억원, 영업이익 5,281억원, 당기순이익 4,326억원 부실 자회사 매각으로 향후 불확실성 제거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연결기준으로 2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고 14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날 발표된 대우조선해양의 상반기 실적은 매출액 4조 5,819억원, 영업이익 5,281억원, 당기순이익 4,326억원이다. 강재가격 인상과 인건비 증가 등 많은 원가상승 요인과 선박가격 정체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실적을 올렸다는 평가다. 이는 주력제품인 LNG운반선과 초대형컨테이너선, 초대형유조선이 연속 건조되며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는 원가절감노력도 결실을 거둔 결과로 보인다. 환율 상승과 해양플랜트의 추가정산(change order) 확보도 연속 흑자에 크게 기여했다. 다만 채무조정 및 구조조정이 진행되었던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이익이 감소했다. 한편 지난 7월 매각된 대우망갈리아조선소(DMHI)가 대우조선해양의 종속회사에서 제외됨에 따라 약 4,600억원 규모의 처분손실이 오는 3분기 연결실적에 영업외손실로
한국선급 해군5성분전단 천지함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서 수여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지난 31일 해군5성분전단 천지함에 해군 함정 최초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서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산업재해 등 위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경영시스템으로 안전·보건 분야의 국제 규격이다. 한국선급은 약 1개월 동안 2단계에 걸쳐 천지함을 대상으로 함정 내 거주 구역 안전 및 위생, 장비 운용 및 정비, 전기설비, 의료설비 등 안전 및 보건관리 분야 전반에 걸쳐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심사를 진행하고 인증서를 수여하게 되었다. 수여식에서 나종신 한국선급 인증원장은 “천지함이 해군 함정으로는 국내 최초로 국제수준의 위험성 평가와 표준 요구사항에 따라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수행하여 인증을 받았다”며 “오늘 인증을 통해 해군의 함정 안전관리 체계를 한층 더 보강하여 전투력 유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승범 천지함장은 “한국선급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우리 軍 함정 최초로 함정 유지관리와 승조원들의 생활 전반에 체계적이고 선진화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안전매뉴얼 확립과 위험성 평가체계 구축으로 장병들의 안전이 보
한국선급 동남아시아 해사업계 대상 기술세미나 개최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싱가포르 및 태국 방콕에서 동남아시아 해사업계를 대상으로 ‘KR 싱가포르 기술세미나’와 ‘KR 방콕 기술세미나’를 각각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국선급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해운, 물류 중심지인 싱가포르와 방콕에서 각각 2008년과 2017년을 시작으로 매년 해사업계의 주요 현안을 주제로 기술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 26일 개최된 KR 싱가포르 기술세미나에는 Navig8, Bernhard Schulte 등의 해운회사, 싱가포르 해사청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세계 해운전문지인 로이즈리스트(Lloyd’s List)와 페어플레이(Fairplay)에서도 자리하여 관심을 보였다. 특별히 이번 싱가포르 기술세미나에서는 Navig8 Asia의 MD&Group COO(최고운영책임자)인 Andrew Hoare를 초청하여 해사업계 시장 전망에 대한 발표를 들었다. 그리고 세미나에 이어 진행된 연례 리셉션에는 안영집 주 싱가포르 대사와 해사업계 인사 250여명이 참석하여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지난 24일 개최된 KR 방콕 기술세
한국선급 자율운항선박 핵심 기술 개발 선도 정부 과제 ‘자율운항선박 선체, 엔진 상태기반 유지관리시스템(CBM) 개발’착수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현대해양서비스, 투그램 시스템즈, 티원아이티 등과 함께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의 지원을 받아 ‘자율운항선박 선체, 엔진 상태기반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연구를 착수하였다고 밝혔다. 상태기반 유지관리 기술은 설비의 상태를 진단, 분석하여 보전 시기를 정하고 맞춤 정비를 수행하는 예방 정비 개념으로 고부가가치 산업 자산 관리 시스템의 최신 트렌드이다. 한국선급 디지털라이제이션팀은 향후 자율운항선박 상태감시 및 유지관리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운항선박의 실선 데이터를 고장예측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선체 및 주 기관의 이상여부를 사전에 판단하고 이를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 체계 구축을 핵심 목표로 본 과제를 착수하였으며 2019년까지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과제의 실측 대상 선박은 13,000TEU급 컨테이너선으로 선체 및 주 기관을 대상으로 상태 감시 빅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해당 시스템을 통해 운항선박의 선체 응력(Hull Monitoring System, HMS
현대重, 생산현장 근로자에 ‘쿨타월’ 지급 유례없는 폭염 따라 총 5만6천여장 특별 주문 물 묻히고 두르면 금세 시원한 효과, 자외선도 98% 차단 점심시간 연장, 스폿쿨러 및 제빙기 가동 폭염 적극 대비 연일 찜통더위가 계속되면서 생산현장의 근로자들이 무더위를 식힐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방안이 눈길을 끌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물이나 배출된 땀을 활용해 즉각적인 냉각 효과를 가져다주는 ‘쿨타월’을 특별히 주문하여 사내 협력회사를 포함한 전 직원들에게 지급하기로 했다. 현대중공업은 폭염으로 인한 근로자들의 피로도를 낮추고, 적절한 체온 유지를 통해 안전 작업을 돕기 위해 쿨타월 총 5만6천여장을 긴급 발주했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이 지급하는 쿨타월은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며 타월을 물에 적신 후 물기를 짜내고 목이나 머리에 둘러주면 금세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자외선을 98% 차단해 여름철 강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는 옥외 작업자들의 일광 화상을 예방하는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현대중공업은 무더위에 대비해 작업 현장에 대형 옥외 냉방기기인 스폿쿨러 1천100여대를 가동하는 한편, 탈수에 대비해 제빙기와 식염 포도당도
현대重 2분기 매출 3조1244억원 영업손실 1757억원 환율 상승, 선박 건조량 증가 등으로 전분기比 매출 2.7% 늘어 강재가 추가 인상,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영업적자 기록 "수익성 위주 영업전략과 맞춤형 고객 솔루션으로 시장 확대 나설 것" 현대중공업이 환율 상승과 선박 건조량 증가 등으로 매출이 전분기보다 소폭 늘어난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현대중공업은 23일(월) 공시를 통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3조1,244억원, 영업손실 1,75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분기(매출 3조425억원, 영업손실 1,238억원)대비 매출은 2.7% 증가한 반면 영업손실은 -5.6% 확대된 수치다. 2분기 매출은 해양부문에서 아랍에미리트 나스르(NASR)2 프로젝트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감소했지만, 전체적으로는 환율 상승과 더불어 조선부문에서 17년 상반기 수주한 선박들이 본격적으로 건조에 들어가고 엔진부문에서 중대형 엔진 등 박용기계의 판매가 증가하면서 전분기보다 2.7% 늘었다. 영업이익은 조선부문에서 환율상승에 따른 기설정 공사손실충당금 환입과 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강재가 추가 상승과 일회성 비용인 희망퇴직 위로금 지급 등으로
한국선급 LNG 연료추진 벌크캐리어 표준도면 공동개발 MOU 체결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지난 18일 부산에 위치한 한국선급 본사에서 STX조선해양과 LNG 연료추진 벌크캐리어 선형 및 가스공급시스템의 표준도면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프로젝트(JDP) 수행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한국선급과 STX조선해양은 최근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규제에 따라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LNG 연료추진 벌크캐리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양사는 화물 공간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예상 항로도 고려한 최적의 LNG 탱크 형식 및 설치 위치, LNG 연료 엔진 형식, 연료준비실 위치 및 가스공급시스템 등의 설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LNG 연료추진 벌크캐리어의 표준도면을 완성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되는 LNG 연료추진 벌크캐리어는 다른 후처리 설비 설치 등의 추가 조치 없이 IMO(국제해사기구)의 황산화물(SOx) 및 질소산화물(NOx) 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날 체결식에서 STX조선해양 최의걸 기술부문장은 ”선박 배기가스에 대한 IMO의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LNG 연료추진선 시장이
한국선급 한·중·일 자율운항선박 공동 워크숍 성료 3국의 자율운항선박 정책 및 기술동향 공유 한국선급(KR, 회장 이정기)은 지난 18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한국선급이 주관한 ‘한·중·일 자율운항선박 공동 워크숍’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중·일 자율운항선박 공동 워크숍은 제 7차 한·중·일 교통물류장관회의의 부대행사로 개최되었으며, 엄기두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 허 지엔쭝 중국 교통운수부 차관, 마사시 오모다 일본 국토교통성 차관보가 각국 수석대표로 자리하였다. 이 날 행사에는 3국 정부 및 산업계 전문가 등 150여 명이 참석하였으며, 각국의 자율운항선박 정책과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자율운항선박 기술 선도를 위한 공동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1부에서는 해양수산부, 중국 교통운수부, 일본 국토교통성이 각국 정부에서 추진 중인 자율운항선박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이어 2부에서는 3국 산업계의 자율운항선박 기술 동향에 대해 다뤘다. 한국선급에서는 ‘스마트 자율운항선박 핵심기술과 한국선급의 기술개발 현황’을 주제로 한국선급의 경제운항 빅 데이터분석, 자율운항선박의 핵심기술인 CBM(Condition Based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