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어업기간 韓日 어업협상 난항 갈치 할당량 GPS 실시 등 양국 주요 관심사항 입장 상이 해양수산부는 5월 21일~23일(3일간) 2013년 어기(2013.7.1~2014.6.30) 韓日 입어협상 제2차 소위원회를 부산에서 개최했다. 지난 4월말 일본 동경에서 개최된 제1차 소위원회에서 양측은 각각 자국 어선의 조업조건은 완화하고, 상대국 어선의 조업조건을 강화하는 제안을 하였다. 금번 소위원회에서 양국의 입장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협의했다. 그러나 양국은 각각 자국의 관심사항은 관철하려고 하는 반면, 상대방 관심사항은 수용하지 않아 양국의 입장 차이는 해소되지 못했다. 입어규모에 대해 우리측은 총허가척수 및 총어획할당량에 대하여 현행유지(860척/60,000톤)를 제안한 반면, 일측은 전년 기준 각각 25% 삭감을 주장했고, 우리측 최대 관심사항인 GPS 실시에 대해 철폐를 요청한 반면, 일측은 예정대로 2014년 3월 1일부터 본격실시 하겠다고 강조했다. 갈치 할당량에 대해 우리측은 조업채산성 유지를 위해 증대되어야 한다고 강조한 반면, 일측은 자원감소, 조업트러블 발생 등을 이유로 상당한 수준의 삭감 및 갈치조업 어장 축소를 관철시키
創刊 7주년특집:엔저 대비 수산물 수출 확대 해외바이어 초청 상담회 실시대일 김 수출 촉진을 위한 입찰・상담회 일본 현지 동시 개최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엔저 등을 극복하고 수산물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 5월 15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Buy Korean Seafood 2013' 수출상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Buy Korean Seafood 2013' 수출상담회는 해수부가 지원하고 한국수산무역협회 주최하는 행사로 해외 우수바이어를 초청하여 국내 수출업체와 1:1 수출상담을 지원하는 행사로, 미주, 중화권, 동남아 지역 등 14개국 40명의 해외 바이어와 국내 69개 업체가 참여한다. 그리고, 대일 김 수출확대를 위해 한국수산무역협회와 일본의 김 관련 단체와 공동으로 주최하는 마른김 입찰회 및 조미김 수출 상담회(한국 48개 업체 참가)도 일본(도쿄) 현지에서 동시에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우수 바이어 초청 및 일본 현지 입찰・상담회를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엔저 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산물 수출업체의 해외시장 판로 개척과 수출을 활성화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해외
정부 체계적 수산물 수출 통계 작성을 위한 협업체계 모색 정부는 농수산식품 수출 확대의 일환으로 매달 신선농식품, 수산물, 가공식품에 대한 수출 통계를 발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수출 대책을 수립하여 왔다. 그 결과, 최근 20% 급락한 엔저현상에도 불구하고 ‘13.3월 기준 수산물 수출은 5.2억불로 전년도 대비 1.4% 감소하는데 그치는 등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2013년 4월 정부조직 개편으로 인해 기존 농림수산식품부에서 해양수산부가 분리 신설됨에 따라, 수산물 수출 통계는 수산업의 미래산업 육성 및 수산물 수출의 체계적 지원의 일환으로 수산물 통계를 별도 관리․공포하는 체제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대국민 정보공개를 위한 인터넷 수산물정보포털시스템(www.fips.go.kr)을 운영하여 월별 수산물 수출입 통계를 게재하는 한편, 최근 수출입 동향을 포함한 수출대책 관련 보도자료를 월별로 주기적으로 배포하고 있다. 향후 해양수산부는 국민의 알권리 제공과 관련 통계 관리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수산물, 신선농식품, 가공식품 등 농수산식품에 대한 수출입 통계를 통합하여 관리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의 협업의 일환으로, 통계
제4차 아시아가두리 국제심포지움 개최 가두리양식 기술향상 및 차세대 내재해(耐災害) 대응 외해양식기술 개발로 미래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여수에 모였다. 국립수산과학원(부장 손상규)은 5월 1일부터 2일 동안 전남 여수에서 “청정바다 지속가능한 수산업”이란 주제로 ‘제 4차 아시아가두리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심포지엄에서 가두리양식 전문가와 학계, 기업인 등 20개국 약 200여명이 참석해 연안생태계를 보호하고 생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환경수용력이 큰 외해(먼바다)양식과 핵심 기술에 관해 FAO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이 있었다. 주요 내용은 ▲지중해, 북유럽, 중남미 등 가두리 양식의 세계적인 동향 ▲종묘생산, 종묘배양장 관리 및 가두리양식과 관련한 어병 예방 대책 ▲안전한 먹거리 공급을 위한 외해가두리양식의 필요성과 발전 방향 등이다. 특히, FAO의 이탈리아 마티아스 홀와트(Matthias Halwart) 박사는 “기술, 환경 및 정책을 고려한 지속적인 가두리양식의 발전 방향” ▲노르웨이 욘 아르네 그뢰툼(Jon Arne Grøttum)박사는 “북대서양 가두리양식”, 에릭 헴펠(Erick Hempe
러시아 수역 대구 오징어조업쿼터는 전년 수준 創刊 7주년특집:명태는 다음 회의에서 결정키로러시아 수역에서의 대구 오징어 꽁치 조업쿼터는 전년 수준인 4만톤으로 합의됐다.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4월23∼25일까지 3일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2차 한·러 어업위원회 3차 회의에서 2013년 러시아 수역 조업쿼터 배정 및 조업조건 등을 이같이 협의했다. 이번 회의에서 양국은 2013년도 조업 쿼터는 대구, 오징어, 꽁치 등의 어종은 전년 수준으로 배정하고, 명태는 4만톤 중 20,500톤을 우선 배정하기로 의견을 좁혔다. 잔여 명태 쿼터 19,500톤의 배정시기에 대해서는 양국의 입장 차이가 있어 차기 회의에서 결론을 내기로 했다. 우리나라는 항만국 검색 제도를 강화하여 러시아산 게의 불법교역 방지에 협력하기 위해 원양산업발전법을 개정 중이므로, 우리는 원양산업발전법 개정 시점과 동시에 추가 배정을 요구하였고, 러시아는 법 이행시점에 배정해 줄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양국은 협상의 걸림돌이었던 러시아産 게의 불법교역 방지 조치에 대해 주로 논의하였으나, 입장 차이를 좁혀가는 상황에서 일정이 종료됨에 따라 5월 중순에 회의를 속개하여 협의를 마무리하기로
세계 최대 브뤼셀수산박람회 참가 유럽수출 판로 확대 2200만 불 수출계약 목표, 우리 수산음식문화 알리기에도 힘써 앞으로 유럽에서도 우리 수산물을 쉽게 접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오는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되는 세계적인 수산전문박람회인 브뤼셀수산박람회에 한국수산무역협회 주관으로 우리나라 8개 우수수산물 수출업체가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최근 유럽지역에서 K-POP 등 한류 열풍이 한국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것에 힘입어 우리 수산물의 우수성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인들이 특히 선호하고 흥미를 갖는 훈제굴카나페, 아보카도김밥, 초밥용 활넙치, 전복 등 다양한 우리 식문화를 선보이고, 30여 개의 우수 제품을 출품하여 2200만 불 규모의 수출계약을 성사시킨다는 계획이다. 올해로 21회를 맞는 이번 박람회는 전 세계 수산 바이어들이 대거 참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산전문박람회이다. 지난해에는 140여개 국가에서 2만 5600명의 수산관계자들이 박람회장을 방문했으며, 올해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노르웨이, 프랑스 등 70개국 1600개 업체가 각종 수산물, 수
創刊 7주년특집:수산물 우수성 홍보로 중화권 시장 공략 국제 로드쇼를 통해 우리 수산물 이미지 제고 및 수출확대 교두보 강화 해양수산부는 오는 4월 13일부터 14일까지 타이완 타이베이시 K-MALL(松崗時尚購物中心)에서 2013년 한국산 우수수산물 로드쇼(주관 : 한국수산무역협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수산물 로드쇼는 현지 주요 수입업체들이 우리 수산물 수출 주력 10대 품목인 김, 해삼, 굴, 전복, 미역, 조미오징어 등을 소비자들에게 홍보하여 실질적인 수산물 수출로 연계될 수 있도록 전개될 예정이다. 이번 로드쇼는 기존 바이어 상담 위주의 국제 박람회와 달리 실제 소비자에게 우리 식문화 전파는 물론, 요리시연․시식행사 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홍보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우수 수산물 홍보관을 따로 마련하고 참치․골뱅이 통조림, 전복죽, 미역, 간고등어, 마른멸치 등 다양한 제품을 전시․홍보해 현지인들이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판촉행사도 펼칠 예정이다. 별도의 행사장에서는 한류․K-POP 열풍에 맞춰 밴드 공연, 마술쇼와 함께 투호놀이, 제기차기, 한국수산물 관
創刊 7주년특집:전국 수산물 수출입 물량 83% 부산 이용 작년 한 해 수출물량 40만1755톤 94% 수입은 102만7653톤 80%으로 나타나 부산이 전국 수산물의 거점도시로서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부산시는 작년 수산물 수출, 수입 등 유통비중을 조사한 결과 부산을 통한 수산물 수출 물량은 전국의 94%, 수입은 전국의 80%를 차치해 부산이 명실상부한 전국 수산물의 중심지임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2012년 한 해 동안 부산을 통관하는 수산물 수출물량은 401,755톤으로 전국대비 94%(전국 426,449톤)를 차지하였다. 이 중 부산항에서 통관된 물량이 400,205톤, 감천항은 1,173톤, 김해공항은 377톤으로 부산항을 이용하는 물량이 전체의 99.6%로 나타났다. 수산물 수입의 부산통관 물량은 총 1,027,653톤으로 전국대비 80%(전국1,280,546톤)를 차지하였다. 이 중 부산항 964,597톤, 감천항 62,962톤, 김해공항 94톤으로 부산항을 통관하는 물량이 전체의 93.8%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2013년 2월 현재 부산의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면 수출은 72,010톤으로 작년 동 기간 66,717톤보다 5,2
국립수산과학원 세계 최초 넙치 게놈 해독에 성공 순수 우리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국민생선 넙치(광어)의 비밀을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손재학)은 넙치의 게놈을 세계 최초로 해독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지앤시바이오의 연구팀들은 24개 염색체로 구성된 넙치 게놈의 약5억4천개 염기쌍을 해독하고 염색체별 유전체 지도를 완성했다. 이에 따라 맛, 육질, 색상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우성 형질을 밝힐 수 있어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다양한 품종의 맞춤형 넙치양식이 가능하게 됐다. 국내 양식 넙치 생산은 연간 5만 톤(5천억 원)이며 세계 양식 넙치 생산량의 90%이상을 차지한다. 넙치는 콜라겐 함량이 많아 단단하고 씹는 맛이 좋고 지방질 함량이 적어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어 횟감용으로 국민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다. 유전체 분야는 21세기 들어 가장 급격한 발전을 보이는 분야이다.유전체 연구는 질병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인간유전체를 중심으로 1990년에 시작됐다. 이후 농작물, 가축 등과 같은 식량자원을 중심으로 2000년대부터 유전체 해독 연구가 진행됐다. 수산생물 유전체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로 2002년도부터
전남도 韓中FTA 대비 수산물 유통시설 확충 내년 수산물종합센터 건립 등 5건 113억…2015년까지 783억 투입 전라남도는 수산물 유통시설 노후화 및 수입 수산물 소비 증가, 한·중 FTA 체결 등 국내외 여건 변화에 적극 대응, 수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대적인 유통 기반시설 확충에 나설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2013년 수산물종합센터건립, 유통시설 현대화 등에 113억 원을 투자하는 것을 비롯해 2015년까지 총 783억 원을 투입, 고부가가치 수산물 유통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2013년 주요 투자사업은 수산물종합센터 건립 70억, 염산향화도 바다매체 타워시설 20억, 수산물 물류유통센터 건립 10억, 수산물 직매장시설 10억, 수산시장 시설 개선 3억원 등이다. 2014년에도 한·중 FTA 등에 대응한 수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일환으로 생산된 수산물을 산지에서 직접 가공해 유통하는 ‘수산물 산지거점 유통센터’ 사업 예산을 확보해 추진할 계획이다. 최갑준 전남도 해양생물과장은 “최근 한·중 FTA가 정부차원에서 본격 논의단계에 있어 사전에 도내 수산물 유통산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수산물 유통기업 규모화·기업화 및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