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2025년 상반기 매출 5조4,774억 원…영업이익 8,471억 원 기록 HMM이 올해 상반기 글로벌 해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실적 개선을 이뤄내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HMM은 2025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5조4,774억 원, 영업이익 8,471억 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7%, 당기순이익은 5.7% 각각 증가한 수치다. HMM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15.5%로, 글로벌 선사 중 상위권을 유지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1조5,141억 원 대비 44.1% 감소했다. 이는 글로벌 운임 하락과 일부 항로 수요 위축 영향으로 풀이된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상반기에도 지정학적 이슈 등으로 평균 2,319포인트를 기록했으며, 올해 들어서는 미국 보호무역 정책 등의 영향으로 7,701포인트까지 상승했다. HMM은 유럽노선(43%)과 미주서안노선(34%) 중심으로 운임 상승 효과를 봤다. 하반기에는 관세 유예 기간 종료 및 지정학적 리스크 심화로 해운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HMM은 선대 운영을 더욱 탄력적으로 전환하고, 벌크선대 확대와 친환경 선박 확보
선원노련, 대통령실과 정책간담회 개최… 선원 현안 9개 의제 전달 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연맹(위원장 박성용, 이하 선원노련)은 8월 6일 부산 마린센터에서 대통령실 이영호 해양수산비서관과의 정책간담회를 열고, 선원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9개 핵심 의제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7만여 선원의 권익 보호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소통의 일환으로, 선원노련 의장단 전원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전달하는 자리가 됐다. 박성용 위원장은 “이번 간담회는 선원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정책적 대화의 장”이라며 “해양수산비서관직의 복원과 함께 이영호 비서관이 초대 비서관으로 임명된 것은 해양수산업계에 매우 반가운 일”이라고 말했다. 선원노련은 간담회를 통해 ▲외국인 선원 고용 시 노조 의견 청취 제도 유지 ▲내항 및 연근해 선원 급여 비과세 한도 상향 ▲연근해어선 부원선원 승하선 공인제도 적용 ▲LNG 운송 국적선 적취율 확대 ▲금어기·휴어기 어선원 생계 지원 확대 ▲선원 근로감독관 증원 ▲국가필수선박 확대 ▲해양수산부 내 ‘선원국’ 신설 등을 포함한 9개 정책현안을 제안했다. 또한, 선원 희생을 기리는 상징시설인 ‘순직선원 위령탑’의 노후화를 지적하며, 보다
한국해사협력센터, 선박 온실가스 중기규제 해설서 발간IMO 규정 완역·해설 담긴 실무형 가이드북, 국적선사 대응역량 제고 기대Net-Zero Framework 분석… 선사 비용 직결 요소 집중 조명 한국해사협력센터가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감축 중기조치에 대한 완역 및 해설서를 발간하고, 국내 해운업계의 대응역량 제고에 나섰다. 센터는 7월 31일 “IMO 온실가스 중기조치 Net-Zero Framework MARPOL 협약 신설 규칙 해설서”를 공식 발표하고, IMO KOREA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한다고 밝혔다. 이번 해설서는 선박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해 오는 10월 제2차 MEPC 특별회기에서 채택될 예정인 MARPOL 협약 신설 규칙을 다루며, 국제 규제의 전환기에 국내 해운사의 이해도를 높이고 실질적인 대응을 돕기 위해 제작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연료 기반 온실가스 집약도(GFI) 목표, 대체준수방안(SU·RU), 넷제로 펀드 운영방안, ZNZ 연료 정의 및 인센티브 구조 등 핵심 조항이 포함됐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량에 직접 비용을 부과하는 중기조치의 특징과, 기국 정부가 아닌 IMO에 직접 부과금을 납부하는 구조는 기존 규제와
HMM, 미국 캘리포니아 오렌지 한국 운송 3년 연속 1위리퍼 컨테이너 운송 역량 기반… 시장점유율 25%→37%로 확대워싱턴 체리 등 고부가가치 냉동화물 운송사업 본격화 국적 선사 HMM(대표이사 최원혁)이 미국 캘리포니아산 오렌지의 한국 수입 운송에서 3년 연속 1위를 기록하며 리퍼 컨테이너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 22일 HMM에 따르면, 미국 해운조사기관 JOC의 ‘피어스 데이터(Piers Data)’ 기준으로 HMM은 올해 총 3,062TEU의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를 한국으로 운송하며 1위 자리를 유지했다. 2위는 SM상선(1,779TEU), 3위는 일본의 ONE(1,334TEU)이 차지했다. HMM은 2023년 25%였던 시장점유율을 2024년 33%(2,982TEU)로 끌어올린 데 이어, 2025년에는 37%까지 확대하며 3년 연속 선두를 유지했다. 이는 단순한 물량 증가를 넘어 리퍼 컨테이너 분야에서 HMM의 기술력과 서비스 역량이 국내외 화주들로부터 인정받고 있다는 방증이다.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는 국내 수입 오렌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1월부터 4월 사이에 해상으로 운송된다. 운송 과정에서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특성상 냉장·
“선원 비과세 월 400만원으로 확대 추진”… 선원노련, 문대림 의원 발의안 전폭 지지내항상선원·연근해어선원 소득세 감면 확대 법안 발의“선원 실질소득 늘고 청년 일자리도 늘어날 것” 기대 내항상선원과 연근해어선원의 비과세 소득 한도를 월 400만 원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소득세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연맹(이하 선원노련)은 7월 21일 해당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국회의원(제주 제주시갑)에 대해 “오랜 과제를 해결할 중요한 입법 활동”이라며 전폭적인 지지 입장을 밝혔다. 이번 법안은 선원의 직업 기피 현상과 열악한 근무환경에 따른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됐다. 현재 해상근로자는 일반 육상노동자와 달리 장기간 바다에 체류하며 폐쇄적인 환경에서 근무해야 하지만, 실질적인 정부의 지원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선원노련은 성명을 통해 “선박 근무의 특수성과 위험성, 노동환경의 폐쇄성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정책적 배려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라며 “비과세 한도가 확대되면 선원들의 실질소득이 증가하고 승선근무 기피 현상 해소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청년층의 해양 직
선박건조금융법정책학회, 사단법인 설립 기념행사 7월 15일 개최“민간 연구회에서 공적 플랫폼으로” … 제도개선·국제규범 대응까지 포괄 시사 선박건조금융법정책학회(회장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오는 7월 15일(화) 오후 5시, 서울 여의도 한국해운협회 대회의실에서 사단법인 설립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학회는 지난 5월 28일 해양수산부 등록을 완료하고, 조선·해운·금융·보험 분야의 제도 기반 형성과 학술적 연계를 목표로 한 공식 법인체로 전환되었다. 2012년 ‘선박건조금융법 연구회’로 출범한 학회는 13년간 민간 중심의 비공식 세미나와 워킹그룹 활동을 통해, 국내외 선박건조계약·금융지원·선박보험·조세제도 등 분야의 실무형 연구를 축적해왔다. 법제와 산업 간 이질적 속도와 해석 차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민간 차원의 시도였으며, 이번 법인 설립은 그러한 노력을 제도권 내로 편입시킨 첫 결과물이다. 이번 기념행사는 학회의 제도적 출범을 대외에 알리고, 향후 정책·산업 연계전략을 공유하는 취지로 마련됐다. 행사는 ▲설립 경과보고 ▲정부·업계 축사 ▲기조강연 순으로 진행되며, 해운조선 분야 고위 정책 담당자, 선박금융 실무자, 조선소·선사 법무담당자 등 1
“해운강국 재건, 선화주 상생에서 시작된다”우수선화주 제도 실효성 제고 위한 정책세미나 개최… 세액공제 확대 등 개선안 논의 국내 무역의 99.7%가 선박으로 이뤄지는 가운데,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화주 상생 방안이 국회에서 논의됐다.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부산 북구을)이 주최하고, 한국통합물류협회, 한국해운협회, 한국무역협회가 공동 주관한 ‘해운강국 재건을 위한 선화주 상생 정책세미나’가 7월 7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박성훈 의원을 비롯해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관련 업계 전문가 및 유관 기관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는 국적선사의 경쟁력 회복과 선화주 간 장기적 협력관계 정착을 위한 제도 개선 필요성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박 의원은 개회사에서 “우수선화주 인증제도에 대한 세액공제 일몰 연장 및 제도 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정안을 이번 국회에 발의했다”고 밝혔다. 정경남 한국해양진흥공사 과장은 해운시황 전망과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에 대해 설명했으며,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제도의 구조적 한계와 개선 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토론에서 김경훈 한국해운협회 이사는 “우수선화주 제도는 도입 취
대한해운·KLCSM, 57개 협력사 대상 산업재해 예방 교육… “실질적 안전 역량 강화 나선다” SM그룹(회장 우오현)의 해운 계열사 대한해운과 KLCSM이 협력사의 안전보건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에 본격 나섰다. 두 회사는 지난달 27일 부산 중구 KLCSM 본사에서 ‘2025년 상반기 협력사 안전보건교육’을 개최하고, 전국 57개 협력업체에서 참석한 80여 명을 대상으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실무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해운업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협력사의 현장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대한해운과 선박관리 전문기업 KLCSM이 공동 주관하며, 계열사 간 안전보건 협력체계 강화와 현장 노하우 공유에 초점을 맞췄다. 교육 주요 내용은 ▲주요 재해 사례 분석 및 예방수칙 ▲안전보건공단의 위험성평가 시스템(KRAS) 실습 ▲중대재해처벌법 기소 및 판결 사례 등으로 구성됐으며, 이론보다 실무 중심의 교육이 이뤄졌다. 대한해운은 2021년 안전보건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한 이후, 협력사 대상 상·하반기 정기 교육을 통해 시스템 고도화와 파트너사와의 시너지를 도모해왔다.
인말새트 ‘넥서스웨이브’, 출시 6개월 만에 선박 1,000척 돌파멀티 네트워크 통합 기반 고속 해상 통신 수요 증가… 글로벌 해운사 도입 가속화 해상 위성통신 전문기업 인말새트 마리타임(Inmarsat Maritime)은 자사의 통합형 고속 해상 통신 서비스 ‘넥서스웨이브(NexusWave)’가 출시 6개월 만에 1,000척 이상의 선박에 설치됐다고 3일 발표했다. 인말새트는 위성통신 기업 비아샛(Viasat)의 자회사로, 이번 성과는 고속 연결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원하는 글로벌 해운업계의 급속한 수요 확대를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일본 ‘K’ 라인, 미쓰이 OSK 라인(MOL), 노르웨이 솔방(Solvang), 네덜란드 안토니 페더(Anthony Veder), 살라움 라인(Sallaum Lines), Parlevliet & van der Plas 그룹 등 다수의 선사가 이미 도입을 마쳤다. 멀티 네트워크 통합으로 ‘항해 중 사무실’ 구현 넥서스웨이브는 인말새트가 독자 개발한 네트워크 본딩 기술을 바탕으로, Ka-밴드 GX(Global Xpress), 저궤도위성(LEO), 연안 LTE, L-밴드 등을 통합한 완전관리형 서비스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한국해운협회, 사장단 연찬회 개최…“공정위 제재·전략상선대·탄소세 대응에 총력”해운·항만·금융·인력·환경 등 산업 현안 총정리…산·학·연·정 협력 체계 모색 한국해운협회(회장 박정석)는 6월 27일 경기도 성남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2025년 사장단 연찬회’를 개최하고, 해운산업의 구조적 위기 대응을 위한 종합 전략과 정책 연계 방안을 중점 논의했다. 행사에는 협회 회원사 대표 64명을 비롯해 해양수산부, 한국해양진흥공사, 학계 및 업계 인사 등 1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연찬회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해운공동행위 제재 대응 방안뿐만 아니라, 전략상선대 제도화, 친환경 선박금융, 외국인 해기인력 확대, 해운 디지털 표준화 등 국내외 주요 현안에 대해 산·학·연·정 간 활발한 논의가 진행됐다. 박정석 회장은 개회사에서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 환경규제 강화, 공동행위 제재 등으로 해운업계가 거대한 파도 앞에 서 있다”며 “협회는 민간금융 활성화, 해운산업의 국가기간산업화, 청년 해기인력 양성, 산업 생태계의 동반성장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기조 강연에서 김용한 서울대 교수(국제대학원)는 미·중 전략 경쟁 심화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조선산업에 미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