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 양식기업이 함께 국내 연어양식산업 경쟁력 키운다
2027년까지 수입연어 4만 톤을 국내생산으로 대체하여
4,200억 원 규모 신규 국내시장과 일자리 1,645개 창출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대기업과 중소 양식업체가 상생 협력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2027년까지 4만 톤의 수입연어를 국내 생산으로 대체하고, 2029년부터 해외 수출시장을 개척하는 등 국내 연어 양식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전 세계 연어시장은 약 60조 원 규모(약 480만 톤)로 추산되고, 이 중 80%(약 380만 톤, 48조 원)가 양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연어는 왕연어, 은연어, 백연어 등 다양한 품종이 있는데, 가장 대중적인 것은 대서양 연어다. 대서양 연어의 전 세계 연간 양식생산량은 260여만 톤 규모로 80%가 노르웨이와 칠레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연간 4만 톤 이상의 대서양 연어를 전량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1차 산업에 스마트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양식산업으로 전환하여 국내 연어 생산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19년부터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중이며, 부산을 시작으로 올해 강원(강릉ㆍ양양)과 경북(포항)을 새로 지정하면서 동해권에 연어 생산축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
동원산업, GS건설 등 민간 기업에서도 양식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선언하였으며, 강원도에서는 작년 11월에 환경부 유해성 평가를 통과*하여 대서양연어 종자, 사육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또한 올해 9월에는 아이슬란드 종자수입 거래선을 확보하여 11월쯤 국내에 들어올 계획이다.
앞으로 해양수산부는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를 시작으로 국내 연어 생산기지 조성과 더불어 대기업과 중소 양식업체 간 상생협력을 통해 국내 연어 양식산업의 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먼저, 2024년까지는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3개소를 순차적으로 완공하여 생산기지를 조성하고 실증생산을 추진한다. 우선, 현재 조성 중인 부산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를 2022년까지 완공하고, 민‧관 협업을 통해 2024년까지 대서양 연어 5천 톤을 실증 생산하여 국내 시장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또한, 지금까지 대서양 연어는 국내반입 한계로 질병, 종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가 없어 질병발생 시 대량폐사의 우려가 있었으나, 2024년까지 226억 원을 투자하여 ‘연어 질병예방센터’를 구축함으로써 연어 질병예방 역량을 강화한다. 아울러, 2028년까지 디지털 유전자 분석기술 연구에 355억 원을 투자하여 상품성 있는 연어 종자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2025년부터 2028년까지는 대기업과 중소업체의 상생협력 모델을 구축하여 연어 양식기술의 국산화와 고도화를 추진한다. 대기업의 양식산업 진출로 기존 중소 양식업체가 시장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중소 양식업체는 중간육성을, 대기업은 본 육성을 담당하는 협업모델을 구축하여 2027년까지 4만 톤의 수입 대서양 연어를 국내생산으로 대체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국내 기자재 업체에도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기업과 중소 기자재 업체가 함께 참여하는 스마트양식 시스템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계획이 원활히 추진될 경우, 총 1,645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뿐만 아니라, 1조 1,809억 원 규모의 생산유발효과와 3,949억 원의 부가가치 창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김준석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장은 “대기업과 양식 중소업체가 협력하여 국내에 약 4,200억 원 규모의 대서양 연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면서, “국내산 대서양 연어의 국제 경쟁력을 높여 향후 수출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