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주요해사인

(사)미래해양수산포럼 상임부회장 이진원 국가 주요시설인 항만 인프라에 대한 국부유출 방지 결단

국가 주요시설인 항만 인프라에 대한 국부유출 방지 결단
(사)미래해양수산포럼 상임부회장 이진원


필자는 대한민국 항만시설에 대하여 상세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 부산항에 주요부두는 허치슨등 외국계가 직접 운영하고 있고, 항만시설 중 크레인은 2000년대 초부터 중국 국영기업인 ZMPC사가 대부분 항만 터미널을 거의 독점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로 인한 폐해와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한 사례를 보면 현대산업개발은 부산신항 2-3, 2-4부두 건설자금 9,600억 원을 산은, 신협중앙회, 새마을금고, 보험사, 시중은행 등 12개 기관의 대주단을 구성해 8550억 원의 자금을 투자받고 600억 원에 대해선 지분 투자를 받았다. 이 사업을 주관하는 SPC(부산컨테이너터미널,BCT)의 총 자본금은 1500억 원인데 이 중 40%가량을 산은(545억 원)이 참여했다. 신협중앙회(55억 원) 현대산업개발은 2-3에 이어  2-4부두 크레인 발주(예상액 2,630억 원)를 국내 조선업체 참여 원천 봉쇄하는 조건으로 발주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중국 업체만 참여하게 하는 지명 제한입찰을 하려는 것이다. 이미 2-3부두 크레인은 수의 계약으로 중국 ZPMC에 발주하였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수주절벽에 위기에 있는 162개 중소업체 약 2,000명 일자리가 없어지고 고사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부산 신항만 전체 67기 컨테이너 크레인, 트랜스퍼 크레인 218대 전량을 중국 ZPMC에 의해  독점공급 및 운영되고 있다.


이것은 약 1조 원 국민 세금이 유출 (국비 지원. 산업은행 대출자금. 항만하역 장비 현대화자금 1,055억 원 등) 된 것이다.


일본과 중국은 자국산만 설치하도록 법적인 조치를 해놓은 것과 달리 우리는 국부유출과 국가기관 항만물류안보를 중국 국영기업에 맡겨 놓은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국가 기간산업인 항만시설의 안보적 차원에서도 1∼2개 국내업체 유지할 수 있도록 항만공사, BCT 등 공기업과 대기업의 경우 국내업체들의 입찰 참여와 공정경쟁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번 기회에 국내산업 보호와 기술개발과 세계시장 재진출을 위해서는 국내업체만 참여시키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 10-20년 전에는 국내 업체들이 세계 5위 수준의 기술 경쟁력으로 전 세계 항만으로 수출하고 있었다.


컨테이너 터미널 세계시장 규모는 2016년 20.4억 달러에서 2021년 62.2억 달러 연평균 25% 성장 예상되고 있다. 이 대규모 사업에 대한민국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수주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에서부터 수주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일감 부족으로 생사의 갈림길에 있는 중소기업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을 국정 기조를 삼고 있는 현 정부 입장을 반영하여, 관련 기업 특히 정부자금으로 사업을 시행하는 현대산업개발(주)의 국가를 위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자본투자를 한 산업은행을 포함한 금융기관, 항만관리에 대한 주무 부처인 해양수산부의 국부유출방지와 일자리 창출에 대한 노력을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