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부대 ‘유해발굴감식단’ 창설 운영
국방부가 기존 육군본부 산하에 설치됐던 전사자 유해발굴 조직을 국방부 내 조직으로 확대개편, 인력을 대폭 확충했다.
국방부는 10일 육군본부 내 1개과(장교 5명, 부사관 1명)로 운영되던 유해발굴감시반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으로 확대창설, 전사자 유해발굴과 신원확인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유해발굴감식단(단장 박신한 대령)은 미국의 JPAC(합동전쟁포로/실종자 확인사령부)의 조직과 기능을 참고로 군과 민간전문인력을 포함, 계획과 발굴과 감식과 지원과 등 4개과 4개 발굴반 모두 85명으로 구성된다.
특히 형질인류학, 법의학 등 관련 분야 전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전문 감식요원을 채용하고, 유해 발굴 현장 감식활동과 관련분야 세미나, 미국 JPAC 실무연수 등을 통해 전문성을 높일 방침이다.
이번 감식단 창설로 그동안 인력제한으로 제보에 의존해온 전사자 유해발굴이 전투전사와 관련자료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추진되고, 발굴과 감식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사자 유해발굴이 한층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감식단 창설을 계기로 올해 전사자 유해발굴은 작년 5개 지역에서 12개 지역으로 대폭 늘어나게 됐으며, 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에 대해 국가가 끝까지 책임진다는 무한책임 이행을 위한 정부의 가시적 의지 표현이라는 의미를 부여함으로서 대국민 공감대 확산과 신뢰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또 국방부는 올해 전사자 유해발굴 지원법 제정을 추진, 유해발굴 사업의 법적근거를 마련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한편 국방부는 기존 감식반이 지난 2000년 이후 총 1484구(국군 : 1182, UN군 : 8, 북한군 : 217, 중공군 : 77)의 유해를 발굴했으며, 이중 신원을 확인한 국군 전사자는 52명, 유가족을 확인한 경우는 22명으로 집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