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중국 우리나라 최대 교역국으로 부상

작년 우리나라 수출입대상국 1위는 모두 중국이 차지

최대 수출액 반도체 최대 무역수지 흑자는 자동차가 기록


관세청(청장 성윤갑)은 무역규모 7,000억불(수출 3,715억불, 수입 3,567억불)시대를 기록한 작년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입 품목 및 국가별 교역량을 분석한 결과, 수출의 경우 반도체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선박, 석유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의 경우 지난해 고유가로 인하여 원유가 부동의 1위를 고수했고, 이어 반도체, 천연가스, 석유제품, 철강판이 그 뒤를 이었다.


전체 무역규모에서 10대 수출입 품목의 교역비중은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지난해 10대 수출품목의 수출비중은 61.1%(2,271억불), 10대 수입품목의 수입비중은 45.8%(1,634억불)를 기록했으며, 10대 수출품목 중 가장 높은 수출증가율을 기록한 품목은 평판디스플레이(36.7%), 선박(25.5%), 자동차부품(21.7%) 순으로 나타났다.


평판디스플레이(LCD, PDP)는 전 세계 디지털방송 전환에 대비한 평판 TV 수요증가 등에 기인했으며, 선박은 컨테이너선, 유조선,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의 수출증가에 따른 것이다.


10대 수입품목 중 가장 높은 수입증가율을 기록한 품목은 합금철선및 고철(46.8%), 철강판(28.1%), 석유제품(25.2%)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철강의 경우 전 세계 및 국내 수요증가에 따른 가격 상승 등에 기인했고, 석유제품은 지난해 하반기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제품가격 상승에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 10대 수출입 대상국의 경우, 수출은 중국, 미국, 일본, 수입은 중국, 일본, 미국 순으로 전체 수출액(3,715억불)에서 10대 수출대상국의 교역 비중은 2006년(63.8%)보다 다소 감소한 62.4%(2,318억불) 기록했다.


전체 수입액(3,567억불)에서 10대 수입대상국의 교역 비중도 2006년(70%)보다 1.4%가량 감소한 68.6%(2,449억불) 기록했다.


수출대상국 1위인 중국으로 가장 많이 수출한 품목은 반도체(9,262백만불), 컴퓨터(5,928백만불),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5,867백만불) 순이며, 수입대상국 1위를 기록한 중국('06년:일본)으로부터 가장 많이 수입한 품목은 컴퓨터(4,850백만불), 철강판(4,436백만불), 반도체(4,211백만불)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수출국가 중 가장 높은 수출증가율을 보인 국가는 러시아(56.2%), FTA 체결국인 싱가포르(26.0%), 영국(22.0%) 순으로, 러시아는 오일머니 유입에 따라 증가한 신중산층들의 한국산 제품(자동차, 휴대폰, 평판TV 등) 선호도 증가로 인하여 수출이 급증했다.


10대 수입국가 중 가장 높은 수입증가율을 보인 국가는 중국(29.8%), 독일(19.1%), 호주(17.0%)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증가율 1위를 기록한 러시아에 대한 주요 수출품목은 자동차(3,296백만불), 무선통신기기(859백만불), 자동차부품(659백만불) 순이며, 특히 10대 무역흑자 품목은 자동차(34,156백만불), 무선통신기기(26,407백만불), 선박(24,628백만불) 순이다.
 

10대 무역적자 품목은 원유(60,234백만불), 천연가스(12,660백만불), 반도체제조용장비(7,011백만불) 순이며, 작년 10대 무역흑자국은 중국(18,945백만불), 홍콩(16,520백만불), 미국(8,522백만불), 『10대 무역적자국』은 일본(29,844백만불), 사우디아라비아(17,130백만불), 아랍에미레이트(8,922백만불) 순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